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오늘 공부한 내용은 고객을 어떻게 직접 만나는가에 대해서 어떻게 유저 리서치를 할 수 있는지. 유저 인터뷰와 사용성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어야하는지 공부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사용자의 경험에 대하 조사를 의미한다.
02 사용자 중심의 사고 기르기 - 유저 리서치
유저 리서치(User Research) 정리 노트
1. 유저 리서치란?
- 유저 리서치란 사용자의 행동, 경험, 니즈, 동기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기 위한 리서치 활동이다. - UX 디자인의 핵심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과정이다.
- 사용자의 입을 통해 듣고, 행동을 통해 관찰하는 것이 핵심이다.
2. 유저 리서치의 목적
- 문제를 정의하고,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
- 디자인의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잡기 위해
- 사용자의 진짜 니즈와 불편함을 파악하기 위해
-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3. 유저 리서치에서 조사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 가능한 것:
→ 사용자의 과거 및 현재의 행동,
→ 어떤 맥락에서, 어떤 이유로 행동했는지 - 불가능한 것:
→ 사용자의 미래 행동을 예측하는 것
→ “원하냐?”는 질문으로는 실제 행동을 알 수 없음
4. 유저 리서치 방법론 분류
🔹 1) 발화 중심 조사 (사용자 말 듣기)
- 인터뷰: 사용자의 경험, 동기, 불편함을 질문을 통해 심층 파악
- 예: "어떻게 이 기능을 사용하셨나요?", "그때 어떤 점이 불편했나요?"
- 서베이(설문): 많은 사용자로부터 구조적인 정보를 빠르게 수집 가능
⟶ 이 방법은 사용자가 **무엇을 말하는가?**에 집중한다
🔹 2) 행동 중심 조사 (사용자 행동 보기)
- 사용성 테스트: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며 문제점 파악
- 예: “이 버튼을 눌러 결제를 진행해주세요.” → 사용자가 망설이거나 실패하는 구간 파악
- A/B 테스트: 두 가지 버전 중 어떤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내는지 비교 실험
- 실제 선택과 행동 결과에 기반하여 데이터 수집
⟶ 이 방법은 사용자가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집중한다
5. 유저 리서치 과정 요약
- 문제 정의
- 어떤 사용자 행동 또는 경험을 알고 싶은가?
- 대상 선정
- 어떤 사용자를 대상으로 리서치를 진행할 것인가?
- 방법 선택
- 인터뷰, 서베이, 사용성 테스트, A/B 테스트 등
- 실행 및 기록
- 음성, 메모, 영상 등으로 기록
- 인사이트 도출
- 사용자의 Pain Point, 행동 패턴, 개선 요구 정리
- 디자인 및 전략 반영
- 실제 제품 개선 또는 기획 의사결정에 활용
6. 실전 적용 팁
- 유저가 말한 것과 실제 행동은 다를 수 있다 → 둘 다 반드시 확인할 것
- “사용자 인터뷰만”으로는 한계가 있음 → **행동 기반 리서치(A/B test 등)**와 병행
- 유저 리서치는 한 번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무리 정리
- 유저 리서치는 단순 피드백 수집이 아닌, 디자인과 비즈니스 전략의 출발점이다.
- 사용자 중심 디자인은 추측이 아닌, 리서치를 통해 축적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한다.
- 미래 예측이 아닌, 현재의 맥락과 행동을 깊이 있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다.
학습 인증샷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