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Mickey7 Edward Ashton : Chapter 1

Mickey7은 에드워드 애슈턴(Edward Ashton)이 쓴 SF 소설로, 인간 복제와 윤리, 생존,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이 책은 한 개척 행성에서 극한의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소모품(Expendable)’이라는 역할을 맡은 주인공 미키7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 줄거리 개요

미키7은 개척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 탐사대에서 ‘소모품’으로 살아갑니다. ‘소모품’은 기본적으로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다가 죽으면, 기억과 의식을 복제하여 새로운 육체에서 다시 태어나는 존재입니다. 즉, 같은 미키가 여러 번 죽고 다시 살아나는 것이 가능하죠. 현재 그는 일곱 번째 버전, 즉 "미키7"입니다.

그러나 어느 날 미키7은 우연한 사고로 죽음을 면하게 되고, 탐사대의 프로토콜을 어긴 채 기지로 돌아옵니다. 문제는, 미키8이 이미 생성되었다는 점이죠. 두 명의 미키가 동시에 존재할 수 없는 상황에서, 그는 자신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미키8과의 공존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키는 개척 행성에서 살아남기 위해 원주 생명체와 협력하거나 충돌하는 상황에 놓이고, 인간 사회의 권력 구조와 복제 기술의 윤리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 주요 테마 & 메시지

  1. 정체성과 존재론적 질문
    • 미키7과 미키8이 공존할 수 있을까?
    • 복제된 존재도 동일한 개체로 볼 수 있을까?
    • 의식과 기억이 동일하면, 나는 나인가?
  2. 윤리적 딜레마
    • ‘소모품’이라는 개념은 인간성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죽음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존재에게 삶의 가치는 무엇인가?
  3. 인류 개척과 외계 생명체
    • 미키는 인간 개척자들과 원주 생명체 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 개척 행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가장 인간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 각색 및 미디어 소식

《미키7》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과 비교되는 SF 장르의 거장, 봉준호 감독이 영화화 작업을 진행 중이며, 배우 로버트 패틴슨이 주연을 맡았습니다. 영화 제목은 《미키17》이며, 원작에서 다소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SF 팬들에게 큰 기대를 받고 있죠.


《Mickey7》 챕터 1 요약

미키7은 탐사 도중 우연히 얼음 균열 속으로 추락하는 사고를 당합니다. 너무나 어이없는 상황에 그는 “이렇게 멍청한 죽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깊은 곳으로 떨어지고, 부상을 입죠.

살기 위해 근처에 있는 동료 베르토(Berto)에게 무전을 보내 도움을 요청하지만, 돌아온 대답은 냉정합니다. 미키7은 소모품(Expendable)이기 때문에 구해줄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어차피 미키7이 죽으면 새로운 미키8이 생성될 테니 위험을 감수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죠. 

절박한 상황에서 미키7은 연인처럼 보이는 나샤(Nasha)에게도 연락해 보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녀가 자신을 구하러 오다 위험을 겪는 것보다는 그냥 얼어 죽는 게 낫겠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어차피 내일이면 미키8이 새롭게 태어날 테니까요.

그러나 예상과 달리, 그는 빙하 속에서 탈출할 길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크리퍼(Creeper)’라는 거대 생명체를 마주하게 되죠. 처음에는 거대한 지내나 곤충처럼보이지만, 미키7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길을 만들어주면서 생존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간신히 살아남아 기지로 돌아오지만, 그를 기다리고 있는 건 충격적인 광경
그의 방 안에는 이미 새로운 미키8이 생성되어 있었습니다.


photon

  • : 광자(光子), 빛의 기본 입자
  • 소설에서의 의미:
    • 광자는 빛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며,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에너지 입자입니다.
    • SF 장르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레이저, 태양광, 광속 이동과 같은 과학적 요소와 연결됩니다.
    • 《미키7》에서 직접적으로 깊이 설명되진 않지만, 우주 탐사 및 행성 개척과 관련된 기술적 배경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예문:
🔹 Photons travel at the speed of light, making them essential for advanced space technology.
(광자는 빛의 속도로 이동하며, 첨단 우주 기술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mandible

  • : (곤충, 절지동물 등의) 턱, 아래턱뼈
  • 소설에서의 의미:
    • 일반적으로 곤충이나 절지동물(예: 개미, 거미, 바퀴벌레)의 큰 턱(아래턱)을 의미합니다.
    • 크리퍼(Creeper)와 같은 외계 생명체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포식자나 생물체의 강력한 턱을 묘사할 때 사용될 가능성이 큼.
    • 인간의 경우 mandible은 해부학적으로 아래턱뼈를 가리킵니다.

예문:
🔹 The alien creature had powerful mandibles, capable of crushing bones in an instant.
(그 외계 생명체는 강력한 턱을 가지고 있어, 순식간에 뼈를 부술 수 있었다.)


creeper

  • : (식물) 덩굴식물, 천천히 기어가는 생물, 기어 다니는 것
  • 소설에서의 의미:
    • **《미키7》에서 크리퍼(Creeper)**는 니스 IV(Niflheim IV)의 원주 생명체로 등장하는 거대한 유기체입니다.
    • 외형적으로 덩굴식물처럼 생겼지만, 단순한 식물이 아닌 지능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존재로 묘사됩니다.
    • 처음에는 단순한 환경적 요소처럼 보이지만, 미키7이 생존하는 데 도움을 주면서 외계 생명체와 인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예문:
🔹 The creeper extended its tendrils, reacting to Mickey7’s movements as if it were alive.
(크리퍼는 덩굴을 뻗으며 마치 살아 있는 듯 미키7의 움직임에 반응했다.)


maw

  • : (동물, 괴물 등의) 아가리, 큰 입, 목구멍
  • 소설에서의 의미:
    • **포식자나 괴물의 ‘커다란 입’**을 묘사할 때 자주 쓰이는 단어입니다.
    • 단순한 ‘입’(mouth)보다 훨씬 더 거대하고 위협적인 이미지가 담겨 있음.
    • 크리퍼나 다른 외계 생명체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거대한 입을 벌리고 삼키려는 이미지를 나타낼 가능성이 큼.

예문:
🔹 The beast’s maw opened wide, revealing rows of razor-sharp teeth.
(그 괴물의 커다란 입이 벌어지며, 날카로운 이빨이 드러났다.)


 dextrous (또는 dexterous)

  • : 손재주가 좋은, 민첩한, 기민한
  • 소설에서의 의미:
    • 신체적 민첩성이나 기계 조작 능력을 나타낼 때 사용됨.
    • 미키7이 위험한 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재빠르게 움직이거나, 손을 사용해 무언가를 조작하는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음.
    • 외계 생명체나 로봇이 정확하고 민첩한 움직임을 보일 때도 쓰일 수 있음.

예문:
🔹 Mickey7 had to be dextrous to climb out of the crevasse using the creeper’s tendrils.
(미키7은 크리퍼의 덩굴을 이용해 크레바스를 빠져나오기 위해 재빠르게 움직여야 했다.)


infrared

  • : 적외선(Infrared, IR)
  • 소설에서의 의미:
    • 빛의 한 영역으로,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열을 감지할 수 있는 파장을 의미함.
    • SF 소설에서 적외선 카메라, 열 감지 센서, 야간 투시 장치와 관련된 기술적 요소로 자주 등장함.
    • 미키7이 혹한의 환경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문제, 혹은 적외선을 이용한 탐색 장비를 언급할 때 사용될 가능성이 큼.

예문:
🔹 The explorers used infrared sensors to detect life forms in the icy wasteland.
(탐사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얼어붙은 황무지에서 생명체를 탐지했다.)


📖 요약 정리

단어뜻소설에서의 의미
mandible (곤충·절지동물의) 턱, 아래턱뼈 외계 생명체나 포식자의 강한 턱을 묘사하는 데 사용됨
creeper 덩굴식물, 천천히 기어 다니는 생물 니스 IV의 원주 생명체, 덩굴처럼 생겼지만 지능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
maw (괴물의) 큰 입, 목구멍 포식자의 거대한 입을 묘사할 때 사용됨
dextrous 손재주가 좋은, 민첩한 미키7이 빠르게 움직이거나 조작하는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음
infrared 적외선 SF 기술 요소, 열 감지 장비나 야간 투시 기술을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