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Mickey7 Chapter 3

Chapter 3


미키7과 미키8은 서로 살아남기 위해 공존할 방법을 고민했지만, 이는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결국 둘 중 한 명은 사라져야 했고, 그 결정을 내리는 일도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미키8이 씻으러 간 사이 베르토가 찾아왔습니다. 그는 자연스럽게 미키7을 미키8로 착각했습니다. 미키7은 순간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태연하게 미키8인 척 연기하며, 자신이 어떻게 죽었는지 물었습니다.그러자 베르토는 예상치 못한 대답을 했습니다.

"미키6과 미키7은 크리퍼에게 먹혀 죽었어."

베르토는 마치 미키7이 크리퍼들에게 버려진 상황을 정확히 알고 있는 듯했습니다.

이후 미키7과 미키8은 바이오 사이클러에서 다시 만났습니다. 그곳은 죽은 소모품의 시체를 분해해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공간이었습니다. 그들은 결국 가위바위보를 통해 누가 남을지를 정하기로 했고, 그 결과 미키7이 패배했습니다.

 

 

미키7과 미키8, 둘 중 한 명은 사라져야 한다?

소모품(Expendable)으로서 미키는 죽을 때마다 새로운 육체에서 다시 태어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미키7이 완전히 사망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키8이 생성된 것이죠.

보통 소모품은 기존 개체가 확실히 사망한 후에 새로운 개체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면서 두 개의 미키가 동시에 존재하는 전례 없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미키7은 미키8을 처리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개척 팀에게 이 사실을 보고할 수도 없는 난처한 입장에 놓입니다. 만약 이 사실이 밝혀지면, 둘 중 한 명은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베르토와의 만남 – 미키7은 정말 죽었을까?

그러던 중, 미키8이 씻으러 간 사이 베르토(Berto)가 방문합니다.
베르토는 새롭게 생성된 미키8과 대화를 나누기 위해 찾아온 것이었고, 당연히 미키7을 미키8로 착각합니다.

미키7은 순간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새롭게 태어난 미키8인 척 연기하며, 자신이 어떻게 죽었는지를 묻습니다.
그런데 베르토는 의외의 대답을 합니다.

"미키6과 미키7은 크리퍼에게 먹혀 죽었어."

미키7은 이 말을 듣고 묘한 기분이 듭니다.
베르토는 마치 그 현장을 직접 본 것처럼 이야기하며, 미키7이 크리퍼들에게 버려진 상황을 정확히 알고 있는 듯합니다.
이제 미키7은 자신이 공식적으로 ‘죽은 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실감하게 됩니다.

바이오 사이클러에서의 운명 결정

이후 미키7과 미키8은 바이오 사이클러(Bio-Cycler)에서 다시 만납니다.
이곳은 개척 기지의 중요한 시설 중 하나로, 죽은 소모품의 시체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공간입니다.

개척자들에게 소모품은 단순한 인력이 아니라 에너지를 재생하는 하나의 자원이기도 했던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미키7과 미키8은 둘 중 한 명이 빨리 사라지는 것이 최선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그들은 공정하게 선택을 내리기로 하고, 가위바위보를 통해 운명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 미키7이 패배하면서 그의 존재는 사라질 위기에 처합니다.

미키7은 과연 그대로 사라지게 될까?

미키7은 죽은 자로 간주되었고, 미키8이 그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이대로 끝이 날까요?

 

abomination

  • : 혐오스러운 것, 증오할 만한 존재
  • 소설에서의 의미:
    • 개척자들이 이중 미키(미키7과 미키8)의 존재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음.
    • 복제된 두 개체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시스템상 허용되지 않으며, 그것을 혐오스럽고 불순한 것(Abomination)으로 간주할 수 있음.
    • 크리퍼 같은 외계 생명체에 대한 인간들의 공포나 혐오를 표현할 때도 사용될 수 있음.

예문
🔹 Having two Mickeys was considered an abomination—one of them had to go.
(두 명의 미키가 존재하는 것은 혐오스러운 일이었고,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사라져야 했다.)


premonition

  • : (불길한) 예감, 징조
  • 소설에서의 의미:
    • 미키7이 자신이 사라질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을 느낄 때 등장할 가능성이 있음.
    • 미키8과 가위바위보를 하기 전, 자신의 운명이 이미 정해져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도 있음.
    • 크리퍼와의 관계에서 미래에 닥칠 위험을 직감하는 장면에서 사용될 수도 있음.

예문
🔹 Mickey7 had a premonition that he wouldn’t walk out of the Bio-Cycler alive.
(미키7은 바이오 사이클러에서 살아서 나가지 못할 것 같은 예감을 느꼈다.)


deficit

  • : 부족, 결핍, 적자
  • 소설에서의 의미:
    • 개척자들이 자원 부족(deficit)을 겪고 있다는 점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음.
    • 특히 바이오 사이클러(Bio-Cycler)가 시체를 재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개척자들이 생체 자원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소모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과 연결될 수 있음.

예문
🔹 The colony had a severe energy deficit, making the Bio-Cycler essential for survival.
(식민지는 심각한 에너지 부족을 겪고 있었고, 바이오 사이클러는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었다.)

 

gallow

  • : 교수대, 사형대
  • 소설에서의 의미:
    • 미키7과 미키8이 서로의 생존을 위해 싸워야 하는 상황에서 자신이 교수대에 오른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음.
    • 가위바위보로 생사를 결정하는 순간이 재판 없이 처형되는 것과 같은 부조리한 운명을 상징할 수도 있음.

예문
🔹 Walking into the Bio-Cycler felt like stepping onto the gallows.
(바이오 사이클러로 들어가는 것은 마치 교수대로 걸어가는 느낌이었다.)


bio-cycler

  • : 생체 재활용 시스템
  • 소설에서의 의미:
    • 죽은 소모품의 신체를 분해하여 에너지로 변환하는 공간.
    • 미키7과 미키8 중 한 명이 사라져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최후의 결정 장소가 됨.
    • 개척자들은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죽은 소모품조차도 완전히 재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임.

예문
🔹 The Bio-Cycler ensured that nothing went to waste—not even the Expendables.
(바이오 사이클러는 어떤 것도 낭비되지 않도록 만들었다. 소모품들조차도 예외는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