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다양한 유저 리서치 방식에 대해 배웠다.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사용자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생각보다 훨씬 다양하고, 목적에 따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먼저, 수치 기반의 정량 조사부터 살펴보자. 서베이는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그 안에도 모바일/온라인/FTF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A/B 테스트처럼 간단한 비교부터, 브랜드 인식이나 만족도처럼 깊은 인식을 수치화할 수 있다.
갱 서베이와 CLT(Central Location Test)는 보다 통제된 환경에서 조건에 맞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냉장고처럼 집에서 써봐야 하는 제품이라면 HUT(Home Use Test)를 활용해 일정 기간 실사용 후 평가를 받는다.
이는 기저귀, 음식, 전자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정성 조사는 사용자의 '이유'를 알고 싶을 때 유용하다.
FGD(Focus Group Discussion)는 여러 사람의 의견을 한 번에 들으며 시너지를 얻을 수 있고,
IDI(In-depth Interview)는 보다 개인적인 주제나 깊이 있는 탐색에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많이 쓰이는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는 단순히 화면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맥락과 흐름, 이탈 지점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때도 정량적인 설문이나 클릭률 분석과 정성적인 실시간 관찰을 함께 활용할 수 있다.
결국 중요한 건 리서치의 목적이다.
정성/정량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서비스에 지금 필요한 인사이트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서 시작해야 한다.
어떤 방식이든 잘 설계된 리서치는 제품의 방향을 더 뾰족하게 만들어줄 수 있다.
리서치는 단지 도구가 아니라, 사용자와 제품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전략이다.
다양한 유저 리서치 방법론 실전 정리
1. 정량 조사 방법
일반 서베이 (모바일/온라인/FTF 등)
- 인지도, 만족도, 이미지 인식 등 수치 기반 확인
- A/B 버전 비교 시에도 유용 (예: 아이콘 색상, 기능 배치)
갱 서베이 (Gang Survey)
- 보안, 통제된 환경이 필요한 경우 활용
- 사전 리크루팅 필수: 조건에 맞는 응답자만 참여 (예: 특정 앱 사용자, 알레르기 여부 등)
- 예시: CBT 앱 테스트, 음료 맛 평가, 냉장고/세탁기 등 대형 기기 테스트
CLT (Central Location Test)
- 특정 장소(예: 거리, 몰)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실행
- 즉석 참여 유도 (인터셉트 서베이 포함)
- 장점: 시간/비용 효율성
- 적용 예시: 대학생 대상 앱 테스트, 공공장소 활용
HUT (Home Use Test, 가정 내 유치 조사)
- 가전, 기저귀, 음식 등 집에서 일정 기간 사용하며 평가
- 장기 사용 중 관찰 기록 필요 (예: 아기 피부 반응, AI 스피커 사용 패턴)
2. 정성 조사 방법
FGD (Focus Group Discussion)
- 여러 사용자가 모여 상호작용하며 의견 도출
- 장점: 시너지 효과, 다양한 시각 수렴, 시간/비용 효율적
- 단점: 특정 발언자(빅마우스) 영향 우려
IDI (In-depth Interview, 개별 인터뷰)
- 1:1 방식. 민감하거나 개인적인 주제에 적합
- 예시: 건강 문제, 신용, 사용성 테스트(UT)
- 전문가 인터뷰에도 활용됨
Chat Interview (메신저 기반)
- 비동기/실시간 인터뷰 가능
- 이미지, 캡처, 실사용 후기 공유에 용이
- 대화형 진행으로 심층 탐색 가능
Creative Workshop
- 전문가 + 소비자 혼합 그룹에서 아이디어 도출
- 컨셉 테스트 및 감성적 반응 탐색에 효과적
3. 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 UT)
- 정성 or 정량 모두 가능
- 정량: A/B 선호도 테스트, 기능별 수치 분석
- 정성: 실시간 행동 관찰, 기능 사용 과정 이해
- 미러링, 녹화 등 활용
- 단순한 화면 테스트보다 이탈 이유, 헤매는 지점 등을 파악하는 데 목적
결론: 리서치 설계 핵심 포인트
- 상황에 따라 정량과 정성 방법을 혼합하여 설계해야 함
- 리서치 목적, 타겟, 조사 환경, 제품 유형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방식 선택
- 사용자의 행동을 눈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만이 리서치는 아니다
→ 목적 중심의 접근이 중요
학습 인증샷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