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astCampus (4월)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5일차 :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오늘 인상적인 점은 역기획을 시작하기전 서비스를 먼저 찾을 때, 괜찮은 서비스를 선택했다면, 외부적인 데이타를 찾아서 그것을 분석해보고, 그 지표들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단순이 내가 생각하기에 좋은 서비스라는 것이 아니라 공개된 정보들 투자 현황, 재무제표등 그 회사를 나타내는 공개된 데이터를 모아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part2 문제 정의 및 해결

역기획 Framework - 콘셉

오늘의집 서비스 분석 – 회사 이해부터 리스크, 가능성까지

1. 오늘의집 개요

  • 콘텐츠 커머스 모델: 인테리어 커뮤니티로 시작 → 관련 제품 판매로 확장
  • 콘텐츠 생산자 + 판매자 + 구매자가 선순환 구조 형성
  • 현재는 인테리어 커머스 분야의 선두 주자

2. 회사 이해 – 3가지 관점

① 자사 홈페이지 조사

  • 비전: “공간과 일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새롭게 정의합니다”
  • 앱 첫 화면 메시지: “누구나 예쁜 집에 살 수 있어”
  • 대표자 인터뷰 중요 → 이승재 대표가 취향 반영 공간 경험에서 사업 아이디어 착안
  • 2016년 스토어 론칭 이후 본격 성장
  • 2020년 기준 앱 다운로드 수: 2,500만 이상

② 포털 기사 검색

  • 주요 내용: 영업 실적, 매출 구조, 성장성
  • 2022년 기준:
    • 매출 59% 증가
    • 영업 손실 6% 감소
  • 고객당 연간 500만 원 이상 소비자 비율 60% 이상

③ 시장 데이터 및 트렌드 확인

  • 인테리어 시장 규모 성장 중:
    • 2008년 7조 → 2015년 12.5조 → 2025년 약 18조 원 예상
  • 인테리어 시장이 단기 유행 아닌 장기적 문화로 정착

3. 주요 경쟁사 분석

① 집꾸미기

  • 2014년 론칭, 오늘의집과 유사한 출발 시점
  • 커머스 전환이 늦어져 성장 격차 발생
  • 최근 커머스 강화 중

② 집닥

  • 오늘의집과 달리 온라인 시공 플랫폼 중심
  • 오프라인 중심 시공 시장을 온라인화하는 데 집중
  • 특정 분야 특화 전략으로 경쟁

③ 기타

  • 하우스미디어: 숏폼 기반 인테리어 콘텐츠
  • 아파트투아이: 시공 중개 중심 플랫폼

4. 투자 현황 및 중요성

  • 투자 유치 여부는 서비스의 잠재성과 생존력, 확장 가능성을 의미
  • 투자금 → 기술 개발, 사업 확장, 인재 채용 가능
  • 입사 후 적극적 업무 기회 확보 가능

5. 핵심 성장 동력 분석

  • 커뮤니티 기반 구조가 핵심
  • 비목적성 사용자 확보 → 반복 방문 유도
  • 정보 격차 해소: 전문가 상담, 콘텐츠 큐레이션
  • 서비스 확장: 배송, 이사, 설치까지 원스톱 제공
  • 코로나 이후 공간에 대한 관심 증가 → 타이밍 적중

6. 사용자 분석

  • 주요 타겟: 20~30대 여성
  • 연령별: 30대 사용자가 절반 이상
  • 가구 형태:
    • 싱글: 54%
    • 신혼: 6.1%
    • 1~2인 가구가 60% 이상
  • 소득 수준: 연 4천~5천만 원대가 45% 비중

7. 트래픽 지표 분석 (출처: 혁신의 숲)

  • 2022년 11월: 943만 방문자 (최고치)
  • 2023년 4월: 전년 대비 40% 감소
  • 트래픽 감소 → 위기 인식 필요
  • 향후 전략: 신규 유입 및 재방문 확대 방안 고려

8. 서비스 리스크 요인

  1. 코로나 종료 → 외부 활동 증가
    • 집 꾸미기 관심 감소, 사용시간 줄어듦
  2. 부동산 거래 절벽
    • 이사 감소 → 신규 인테리어 수요 감소
  3. 경기 침체
    • 고관여 제품 소비 위축, 인테리어 지출 부담 증가

9. 향후 가능성

  1. 소형 가구 증가
    • 2050년 예상: 1~2인 가구가 전체의 78.5%
    • 오늘의집 사용자 기반과 일치 → 시장 확대 여지
  2. 노후 주택 비중 증가
    • 2020년 기준: 20년 이상 주택이 48.9%
    • 리모델링 수요 증가 → 기회 요인
  3. 사무실 인테리어 수요 증가
    • 재택근무 감소 이후에도 공간 꾸미기 문화는 지속

요약 정리

  • 오늘의집은 커뮤니티 기반 콘텐츠 커머스의 대표 성공 사례
  • 성장 배경: 시장 트렌드 적중 + 사용자 중심 구조 + 지속 확장
  • 다만 트래픽 감소 및 외부 환경 변화는 위기 요인
  • 앞으로의 전략은 1~2인 가구 타겟 강화, 리모델링 수요 대응, 재방문율 확보 방안에 초점 맞추는 것이 핵심

 

 

학습 인증샷

학습 시작 시간
학습 종료 시간
학습 진도
학습 통계

 

학습 인증샷

 

 

https://abit.ly/lisbva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