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astCampus (4월)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8일차 :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오늘은 Stig 강사님의 비지니스 데이터를 분석해서 어떻게 비지니스 목적에 따라 UX를 할 것인가?
그리고 사용자, 특히 초기 사용자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좀더 자세히 풀어주셨다. 

 

part1 사용자 중심의 사고/ UXUI 디자인의 이해

비지니스 데이터 탐색, 비지니스 목적에 따라 UX가 어떻게 다른가?

비즈니스 목적에 따른 UX 유형 분류

UX 제품 유형 ① 콘텐츠 중심 제품

  • 목적: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정보 제공
  • UX 특징:
    • 사용자 멘탈 모델에 맞는 카테고리 구성
    • 효율적인 검색 기능 제공
  • 예시: 미디어, 뉴스,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등

UX 제품 유형 ② 테스크 중심 제품

  • 목적: 사용자가 특정 업무/작업(Task)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
  • UX 특징:
    • 초보자와 숙련자 모두 고려한 설계 필요
    • 예: 이메일 작성/읽기/다운로드 등 반복 작업
  • 예시: 이메일, 메신저, 일정 관리 앱 등

UX 제품 유형 ③ 마케팅 중심 제품

  • 목적: 사용자로부터 정보 수집 또는 참여 유도
  • UX 특징:
    • 즉각적인 보상을 암시
    • 흥미 요소와 시각적 자극을 사용
    • 소셜 로그인 유도 → 개인정보 자발적 수집
  • 예시:
    • 코카콜라 앱: 게임, 필터 사용 유도
    • 성향 테스트형 앱, 이벤트 참여 앱 등

UX 제품 유형 ④ 브랜딩 중심 제품

  • 목적: 회사나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형성
  • UX 특징:
    • 회사 소개, 제품 소개 등 정보 전달 구조화
    • 대상: 고객, 파트너, 투자자, 구직자 등
  • 예시: 기업 홈페이지, 브랜드 랜딩페이지 등

UX 제품 유형 ⑤ 커머스 중심 제품

  • 목적: 제품/서비스 판매 유도
  • UX 특징:
    • 앞선 4가지 특성을 복합적으로 포함
      • 콘텐츠: 다양한 제품 정보를 쉽게 탐색
      • 테스크: 주문, 결제, 배송 등 절차
      • 마케팅: 쿠폰, 알림 등 혜택 제공
      • 브랜딩: 컬러/로고/구성 통한 브랜드 강조
  • 예시: 쿠팡(로켓배송/블루톤), 위메프(할인/레드톤 등)

UX 제품 유형 ⑥ 온디맨드 중심 제품

  • 목적: 사용자 요청 시 즉시 서비스 제공
  • UX 특징:
    • 단일 테스크 중심 (예: 호출, 예약 등)
    • 마케팅, 브랜딩 요소 함께 존재
  • 예시: 카카오T, 티맵택시 등 호출형 서비스

UX 제품 유형 ⑦ 소셜 중심 제품

  • 목적: 사용자 간 소통과 관계 형성
  • UX 특징:
    • 사진 업로드, 댓글 등 사용자 생성 콘텐츠 중심
    • 테스크 처리 요소 포함
    • 보안 강화 필수 (개인정보 노출 위험)
  • 예시: SNS, 커뮤니티 앱 등

초기 사용자의 중요성

1. 왜 초기 사용자가 중요한가?

기술 수용 주기(Technology Adoption Curve)

  • 미국 사회심리학자 에버렛 로저스의 이론
  • 신기술 및 제품이 시장에 퍼지는 과정을 다섯 가지 집단으로 분류

▶ 5단계 사용자 유형

  1. 혁신 수용자 (Innovators, 2.5%)
    • 기술 분석에 관심 많고, 검증되지 않아도 사용
    • 신제품에 대한 열정은 있지만 타인에게 전파하지 않음
  2. 선각 수용자 / 얼리 어답터 (Early Adopters, 13.5%)
    • 스스로 판단 후 사용
    • 입소문을 내고 후기 공유에 적극적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 등)
  3. 전기 다수 사용자 (Early Majority, 34%)
    • 얼리 어답터를 통해 검증된 제품만 사용
    • 실용성 중시
  4. 후기 다수 사용자 (Late Majority, 34%)
    • 시장 표준이 되었을 때 사용
    • 안정성과 브랜드 신뢰가 중요
  5. 지각 수용자 (Laggards, 16%)
    • 기술/제품 수용에 매우 소극적
    • 경제적 제약 또는 개인 성향

2. 초기 시장 vs 주류 시장

구분특징
초기 시장 혁신/선각 수용자 중심, 문제 해결 의지 강함
주류 시장 전기/후기 다수 사용자, 편의성 & 검증된 솔루션 선호

초기 사용자 확보가 제품 성공의 관건

3. 초기 사용자 타겟팅 사례: 마켓컬리

  • 초기 페르소나: 33세, 9년 차 직장인, 강남 거주, 맞벌이 부부
  • 특성: 더블 인컴, 여유 있지만 시간 부족
  • 욕구: 늦은 시간 쇼핑 가능, 빠른 배송 필요
  • 초기 시장 공략 성공 → 후기 시장(49세 일반 주부 등)까지 확장 가능

4. 캐즘(Chasm)의 존재

  • 초기 시장과 주류 시장 사이의 간극
  • 많은 제품이 이 지점에서 실패
  • 이유: 초기 사용자의 열정 → 주류 시장까지 이어지지 못함

극복 전략

  • 빠르게 가설 수립 → 테스트 → 데이터 수집 → 개선
  • 린, 애자일, 디자인 씽킹 모두 캐즘 극복을 위한 접근법

5. 볼링핀 전략(Bowling Pin Strategy)

개념

  • 세분화된 시장(Segment 1)을 첫 타겟으로 삼아 공략
  • 성공 → 연쇄적으로 옆 시장(Segment 2, 3...)으로 확장

구조

  1. 세분화 시장 1 + 솔루션 1 → 시장 진입
  2. 시장 반응 확인 → 인접 세그먼트 확장
  3. 솔루션 확장/변형하여 다른 세그먼트에도 대응
  4.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전체 시장 확보

6. 초기 사용자 설정의 실무 적용

  • “전 국민이 고객이다”는 비현실적
  • 정밀한 초기 타겟 설정이 제품 성공의 핵심
  • 초기 니즈 충족 못하면 확장 불가능

 

 

학습 인증샷

학습 시작 시간
학습 종료 시간
학습 진도표

 

학습 통계
학습 인증샷

https://abit.ly/lisbva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