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구슬쌤 - It would go a long way. contagious😷, long way to go 1. Contagious = 전염성 있는 / 퍼지는● 핵심 의미단순히 질병뿐 아니라 감정, 에너지, 분위기도 전염될 수 있음“contagious”는 다양한 상황에서 널리 사용● 예문You're not contagious, are you?→ 너 전염성 있는 거 아니지?Well, I hope you're not contagious.→ 너 전염성 없기를 바란다.Don't worry. I'm not contagious.→ 걱정 마. 나 전염성 없어.I'm not contagious anymore.→ 이제 전염성 없어요. (다 나았어요)What are you doing? Getting a drink? You're sick.→ 뭐 하는 거야? 음료수 마시러 가? 아프잖아.→ I'm not contagious any.. 더보기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30일차 :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기획이 단순히 아이디어만 정리하는 단계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특히 설계 단계에 들어가면, 아이디어가 실제로 구현 가능한지,그리고 디자인·개발·데이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인지를 냉정하게 검토해야 한다.이 시점에서 중요한 건 프론트, 백엔드, 데이터 기획이 하나로 엮인 상태에서 진행되는 문서 구성이다.각 기획 파트가 따로 놀게 되면 개발 현장에선 질문과 혼선이 반복되고, 결국 일정과 완성도에 영향을 준다.기획서는 누구나 읽을 수 있어야 하고,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물론 역기획 실습에선 실제 서비스 전체 구조를 다 알 수는 없다.하지만 중요한 건 완벽함이 아니라, "이렇게 구성하면 실제로 구현될 수 있다"는 논리적인 설계력이다... 더보기
Revenge of the Tipping Point 『Revenge of the Tipping Point』 책 소개저자: 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출간일: 2024년 10월 1일장르: 논픽션, 사회과학**『Revenge of the Tipping Point』**는 말콤 글래드웰이 25년 만에 다시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 개념으로 돌아와, 사회적 전염 현상의 어두운 면과 의도하지 않은 결과, 그리고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의 윤리적 딜레마를 파헤치는 신작입니다주요 내용 및 특징사회적 전염의 그림자다채로운 사례와 스토리텔링핵심 개념: ‘매직 서드(Magic Third)’슈퍼스프레더(Superspreader)와 사회적 영향력사회공학의 윤리적 질문책의 의의와 평가글래드웰의 대표적 스타일역사, 과학, 사회.. 더보기
구슬쌤 - 같은 '빨리 빨리'가 아닌 accelerate vs. expedite 1. Embrace = 열렬히 받아들이다, 포용하다● 핵심 의미단순히 받아들이는 것(accept)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서적극적으로 안아주고 환영하는 느낌특히 나이듦, 변화, 고통, 혼란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에 많이 사용● 예문You have to embrace yourself, embrace your age.→ 자신을, 그리고 나이를 포용해야 해.Aging is inevitable. We should just embrace it.→ 나이 드는 건 불가피해. 그냥 받아들여야 해.Why not embrace? This will be a killer family office.→ 왜 받아들이지 않아? 이건 정말 멋진 가족 오피스가 될 거야.Americans don't run from challenges... 더보기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9일차 :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프론트 기획은 단순히 화면을 그리는 작업이 아니다.화면의 흐름, 데이터의 움직임, 예외 상황까지 꼼꼼하게 설계해 개발과 디자인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돕는 일이다.특히 다양한 조건 분기와 에러 상황까지 예측해 설계해야 진짜 완성도 높은 결과물이 나온다.결국 좋은 프론트 기획서는 '생각'이 아니라, 구현 가능한 형태로 구조화된 명확한 청사진이어야 한다. part3 역기획 Framework 설계📚 강의 노트: 프론트 기획의 핵심 설계 방법론1. 설계 파트의 큰 흐름컨셉 단계: 아이디어 발현 및 구체화 (추상적)설계 단계: 검증된 아이디어를 실질적 프로덕트로 구체화이후 전략 단계로 넘어감 (비전 및 장기 계획 수립)2. 프론트 기획이 중요한 이.. 더보기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56일차 : 한 번에 끝내는 숏폼 콘텐츠의 모든 것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영상 제작 과정에서 기획안이 왜 중요한지 다시금 깨닫게 되었다.기획안은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광고주와 제작자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게 만드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다. 기획안 작성 시에는 영상의 컨셉과 의도, 강조 포인트, 촬영 계획을 명확히 정리해야 하고, 가능한 한 구체적인 레퍼런스를 제시해 오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콘티 작성은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대본형·스토리보드형·텍스트형 중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흐름을 자연스럽게 잡는 것이 관건이다.결국 좋은 영상은 멋진 기획안에서 시작되며, 완성형을 목표로 하기보다 소통과 조율을 위한 열린 기획안을 만드는 것이 성공의 열쇠임을 다시 한 번 느낀 시간이었다.영상 .. 더보기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28일차 :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서비스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좋은 문제 해결, 단순히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 아니다.문제를 정확히 정의하고, 다양한 개선안을 제시하고, 논리적인 가설을 세운 뒤, 우선순위를 똑똑하게 조율하는 과정이다.개선안은 하나에 집착하지 말고, 여러 가능성을 열어둔 뒤가장 빠르고, 적은 리소스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부터 실행하는 것이 핵심이다.그리고 가설은 항상 수치로 예측하고, 실행 후에는 반드시 데이터로 검증해야 한다.결국, 빠르게 실험하고 배우는 사람만이 진짜 성장할 수 있다. part2 문제 정의 및 해결문제점 개선안 도출과 가설 설정 방법1. 문제점 확정 후 개선안 도출문제점을 확정하면 개선 방안은 2~3가지 이상 제시.. 더보기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55일차 : 한 번에 끝내는 숏폼 콘텐츠의 모든 것 강의 후기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오늘 강의에서는 모바일 영상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플랫폼보다 명확한 메시지와 타겟 설정이라는 점을 다시 느꼈다. 숏폼은 빠른 정보 나열과 기대감을 주는 제목이 필수이고, 롱폼은 기획력과 몰입감을 높이는 구성이 핵심이다. 커머스 영상은 감성적인 접근과 함께 제품의 실질적 강점을 직관적으로 부각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상 초반에 명확한 키워드나 정보를 제시해 시청자의 관심을 끄는 전략이 필요하다. 결국, 좋은 영상은 플랫폼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에게 필요한 가치를 정확히 전달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프리미어 활용 모바일 숏폼 및 롱폼 영상 기획 1. 모바일 영상 트렌드세 가지 트렌드인스타그램 스토리, 틱톡 기반 1분 내외 세로 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