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Small things like these - chapter 5,6,7

Small things like these

챕터 5, 6, 7

 

일요일, 미사가 시작되기 전 이른 아침, 펄롱은 수도원에 석탄을 배달하려고 창고에 갔다가, 그곳에 갇혀 있는 한 소녀를 발견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갓난아기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겠다며, 펄롱에게 물어봐 달라고 부탁합니다.

펄롱은 소녀를 수녀님께 데려다줍니다. 그러나 수녀는 별일 아니라는 듯 행동하며,

펄롱에게 무언의 압박과 함께 가족 안부를 묻고, 늘 그랬듯 크리스마스 카드 선물이라며 돈을 건네줍니다.
펄롱은 갈등하지만, 그녀에게 언제든 자신을 찾아오라고 말한 뒤 자리를 뜹니다.

그는 집에 돌아와 아내와 딸들과 함께 미사에 참석하지만, 마음이 어지러워 미사에 집중할 수 없습니다.
그날 저녁, 펄롱은 미세스 윌슨의 집에 살고 있을 네드를 만나러 가지만, 네드는 집에 없고 요양차 병원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우연히 집안 사람들과 이야기하던 중, 자신이 네드를 닮았다는 말을 듣고서야, 펄롱은 네드가 어쩌면 자신의 아버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그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네드가 자신을 위해 매일 해주었던 작은 행동들을 떠올립니다.

크리스마스가 되자, 모두가 선물을 주고받습니다.
펄롱은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고받으며 인간의 가장 좋은 모습과 가장 안 좋은 모습을 동시에 보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누리는 여유와, 어려운 이웃이 소외되는 현실, 그리고 계속 마음에 걸리는 그 소녀의 모습을 떠올립니다.

그가 마음이 불편했던 진짜 이유는, 자신의 위선적인 행동 때문이었습니다.
모두가 진실을 외면하고, 수도원이 막강한 실세로서 그의 딸들의 학교를 포함한 지역 사회 모든 곳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에, 수도원과 척을 지면 언제든 자신의 삶이 무너질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었습니다.

그럼에도 펄롱은 갈등합니다.
그리고 미세스 윌슨과 네드를 떠올리며, 용기를 냅니다.

결국 그는 소녀를 구해 집으로 데려옵니다.
사람들은 왜 소녀를 수도원에 다시 데려가지 않는지 묻지만, 펄롱은 앞으로 어떤 어려움이 닥칠지 알 수 없었음에도, 마음이 한결 가벼워짐을 느낍니다.
무엇이든 이겨낼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었습니다.

펄롱의 내면 갈등 끝에 나온 이 용기 있는 선택은, 어릴 적 자신에게 작은 것들을 아낌없이 주었던 미세스 윌슨과 네드 덕분이었습니다.
그는 소녀를 외면하는 것이 오히려 더 큰 아픔이 될 것임을 알았고,
그렇기에 오랜 세월 동안 모두가 침묵했던 어두운 진실에 맞서 소녀를 구하고 집으로 데려온 것입니다.

이후 그의 삶이 얼마나 고단해졌을지는 상상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선을 택한 그의 행동을 통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 책을 덮고 나서도 한동안 생각이 머물렀습니다.
나라면 과연 펄롱처럼 용기를 낼 수 있었을까?
답을 쉽게 찾을 수 없어 마음이 불편했습니다.

매년 크리스마스마다 주고받던 의미 없는 선물들도 떠올랐습니다.
나는 과연 진실 앞에서 당당할 수 있을까?
모두가 용기를 낼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이 책은 스스로에게 그런 질문을 던질 기회를 주었습니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의미 있는 시간이였던 것 같습니다. 

 

 

1. lorry

: (영국식) 대형 트럭
소설 속 뉘앙스: 펄롱이 석탄이나 장작을 배달할 때 몰고 다니는 운송수단. 가난한 지역 일상 속의 필수적인 풍경
예문:
The old lorry rattled under the weight of coal, its wheels slipping on the frozen lane.

2. docket

: (상품의) 운송장, 명세서, 작업 지시서
소설 속 뉘앙스: 펄롱이 배달한 석탄이나 장작에 대해 기록하고 확인받는 작은 서류. 세심하게 관리되는 일상의 단면
예문:
Furlong handed the docket to the nun, who barely glanced at it before tucking it away.

3. convent

: 수녀원
소설 속 뉘앙스: 이야기에 등장하는 '교육과 교화'의 명목 하에 소녀들을 착취하는 장소. 외면과 침묵이 가득한 폐쇄된 공간
예문:
The convent walls stood high and silent, shutting out more than just the winter cold.

4. prefab

: 조립식 건물 (prefabricated building)
소설 속 뉘앙스: 임시적이고 싸게 지어진 주택. 당시 아일랜드의 서민 주거 형태를 반영. 불안정하고 간소한 삶의 상징
예문:
The families lived in prefabs, the damp creeping up the walls by winter’s first frost.

5. leanbh (발음: /lʲanəv/)

: (아일랜드어) 아기, 어린아이
소설 속 뉘앙스: 갓난아기, 특히 수도원에서 소외되거나 버려진 아이들을 지칭할 때 감정적으로 사용
예문:
"Poor leanbh," she whispered, brushing a strand of hair from the child’s forehead.

6. flinch

: 움찔하다, 주춤하다 (공포나 고통 때문에)
소설 속 뉘앙스: 소녀들이 수녀의 폭력이나 명령 앞에서 보이는 반사적 반응, 혹은 펄롱이 진실을 직면할 때 느끼는 본능적 두려움
예문:
He saw her flinch before the slap ever came.

7. immaculate

: (오점 없이) 깨끗한, 순결한, 완벽한
소설 속 뉘앙스: 수도원의 겉모습(깨끗하고 경건해 보이는 외형)이나, 종교적 ‘순결’의 이미지. 하지만 실상은 부조리와 위선
예문:
The convent floors gleamed immaculate, while the sins they hid festered behind locked doors.

8. idle

: (형용사) 게으른, 하는 일이 없는 / (동사) 빈둥거리다, 정지 상태로 있다
소설 속 뉘앙스: 일손이 모자란 마을 풍경, 혹은 펄롱이 생각에 잠긴 채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순간을 묘사할 때 사용
예문:
The men stood idle by the frozen quay, their breath misting in the cold air.

 

단어 요약 도표 

단어뜻소설 속 의미 요약예문 요약
lorry 대형 트럭 석탄 배달 수단, 가난한 마을 일상의 일부 얼어붙은 길을 달리는 트럭
docket 운송장, 명세서 석탄 배달 시 기록용 문서 수녀가 받아가는 명세서
convent 수녀원 겉은 경건하지만 내부는 부정의 공간 죄를 감춘 벽
prefab 조립식 주택 가난하고 임시적인 삶의 상징 습기로 얼룩진 벽
leanbh (아일랜드어) 아기, 아이 갓난아기, 보호받지 못한 생명 아이의 이마를 쓰다듬다
flinch 움찔하다 폭력, 공포 앞의 본능적 반응 손찌검 앞에서 움찔하다
immaculate 티 없이 깨끗한, 순결한 겉모습만 깨끗한 위선 반짝이는 수도원 바닥
idle 게으른, 일 없는 빈둥거림, 무력한 마을의 풍경 얼어붙은 부두에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