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오늘은 실무에서 “왜인지 모르게 더 좋아 보이는 디자인”에 숨어 있는 기본 규칙들을 정리해본다.
특히 버튼, 여백, 타이포그래피처럼 자주 마주치지만 고민이 많은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UI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버튼의 우선순위 설정이다. 모든 버튼이 똑같아 보이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중요한 행동이 무엇인지 인지하기 어렵다.
많은 디자이너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있다.
바로 화면을 꽉 채우는 것이 전문적으로 보일 것이라는 착각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백이 많을수록 디자인이 정돈되어 보인다.
시각적으로 균형 있어 보이게 정렬하는 광학 정렬(optical alignment) 개념도 활용되어야 한다.
실용적인 UI 디자인 규칙과 버튼/간격/타이포그래피 설계 팁
1. 버튼 디자인의 시각적 계층 구조
- 각 화면에는 기본 작업용 주요 버튼 1개 필요
- 버튼은 우선순위에 따라 계층 구조로 구분 (기본 버튼 → 보조 버튼 → 링크)
- 시각적 계층 구조는 색상, 크기, 위치로 표현되어야 함
→ 색상만으로 구분하지 말 것 - 버튼 최소 크기 48pt, 버튼 간 충분한 여백 필요
- 버튼 간 명암비 3:1 이상 유지 (접근성 고려)
- UI 적용 예시: 강조 버튼은 진한 색상 / 보조는 연한 색 또는 링크 형태
2. UI 디자인 사례 및 적용 팁
잘 보이는 버튼 구성
- CTA(주요 행동 유도 버튼)는 시각적으로 가장 눈에 띄게
- 버튼 색상 외에도 서체, 굵기, 배치 위치로 강조
- ex) "지금 예약"은 강한 색, "더 보기"는 연한 색 링크 형태
공간 활용과 그룹핑
- 콘텐츠가 너무 붙어 있으면 인식 어려움 → 공간으로 구분
- 관련 정보는 시각적 블록으로 묶어 사용자 인식 도움
- UI 요소 간 일관된 여백 확보 (ex. 제목과 본문 간격 구분)
아이콘 사용 시 일관성
- 아이콘 스타일 혼용 금지 → 필 아이콘과 라인 아이콘 혼용 X
- 한 화면 내에서는 동일 스타일로 통일 필요
버튼과 콘텐츠 혼동 방지
- 콘텐츠와 버튼이 비슷한 모양이면 혼동 유발
- 콘텐츠는 콘텐츠답게, 버튼은 버튼답게 표현
- 버튼은 클릭 가능하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되도록 설계
3. 텍스트와 타이포그래피 가이드
- 가독성 높은 서체 선택: x-height가 높은 폰트(예: Lato)는 더 잘 읽힘
- 텍스트 정렬: 왼쪽 정렬 원칙 (중앙 정렬은 제한적 사용)
- 행간(Line-height): 본문은 폰트 크기의 1.5~2배 권장
4. 실전 예시 리뷰
- 잘못된 예시:
- 여백 없음 → 시각적 과부하
- 복잡한 스타일 → 사용자 혼란
- CTA 버튼 강조 부족 → 행동 유도 실패
- 개선된 예시:
- 정보는 그룹핑, 버튼은 강조
- 북나우(예약하기) 버튼이 시각적으로 가장 강하게 인식됨
5. UI 작업 시 체크리스트
- 색상에만 의존하지 않고 구분되게
- 버튼은 터치하기 쉬운 크기와 간격 확보
- 간격 및 여백 규칙 정의 (ex. 4pt/8pt/12pt 그리드 활용)
- 글자 크기, 줄간격, 정렬 방식 일관 유지
- 시각적 우선순위(CTA > 보조 > 링크) 분명히 설계
6. 실무 디자인에서 자주 하는 실수 및 교정 팁
실수개선 방법
전체 화면 꽉 채우기 | 콘텐츠가 많지 않으면 적절한 여백 유지 |
과도한 스타일 | 사용자 혼란 줄 수 있음 → 깔끔한 구성 우선 |
CTA 문구 불명확 | "Start" 대신 "Start Free Trial" 등 명확한 UX 라이팅 필요 |
복잡한 내비게이션 | 색상, 형태로 그룹핑하여 정보 구분 명확히 |
텍스트 간격 없음 | 본문 행간은 최소 1.5~2배, 붙어 있지 않게 |
패딩 불균형 | 요소 간 간격 및 패딩은 일관된 수치로 구성 |
7. 실무 간격 설계 팁 (Spacing Tips)
- 4의 배수 사용: 4, 8, 12, 16, 24 등
- 부모와 자식 요소 간 패딩은 같거나 부모가 더 큼
- Optical Alignment(광학 정렬): 시각적으로 균형 맞춰 보이는 위치 설정
- Key Line 사용: 아이콘/컴포넌트 제작 시 기준 라인 적용으로 균형 유지
8. 마무리
- UI 디자인은 기능 표현 + 시각 구조의 설계
- 버튼/공간/텍스트/내비게이션/간격 모두 사용자의 인지 흐름과 연결
- 실무에서는 디자인 요소 간의 일관성과 심리적 안정감이 매우 중요
학습 인증샷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