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Campus (4월)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12일차 :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강의 후기

TinyHabit 2025. 4. 12. 03:58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성공하는 UX/UI 디자이너의 필수 스킬셋
: 실무에서 인정받는 5가지 핵심역량

 

오늘은 사용성 분석에 대한 예시를 가지고 실제적인 것들을 배우는 시간이였다.
어떻게 휴리스틱 평가를 할지, 그리고 실전 벤치 마킹 방법에 대해 배웠다. 
특비 벤치마킹에 대해서는 디자이너로서 늘 하는 일인데 막연하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좀더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

 

실전 벤치마킹 방법

1. 벤치마킹이란?

  • 정의: 특정 기준을 설정하고, 경쟁사나 유사 제품과 비교 분석하여 장점을 파악하고 학습하는 과정
  • UX 디자이너가 고려해야 할 3가지 기준:
    1. 비즈니스 관점
    2. 정보 구조(IA)
    3. 사용성(Usability)

2. 각 기준별 벤치마킹 방법

① 비즈니스 기준

  • **링 캔버스(Lean Canvas)**를 활용해 자사 제품과 경쟁사 제품을 동일한 기준으로 분석
  • 예: 우리 제품 vs 경쟁사 A, B, C 제품의 비즈니스 모델 비교

② 정보 구조(IA)

  • 자사 및 경쟁사 사이트의 사이트맵, 내비게이션 구조, 검색 기능, 레이블 구조 등 분석
  • 동일한 기준으로 구조 비교 → IA 분석이 핵심

③ 사용성(Usability)

  • 휴리스틱 평가(10가지 사용성 원칙) 활용
  • 동일한 테스크(Task)를 설정해 제품별로 문제점 도출
  • 예시 테스크: “플레이리스트를 만들고 좋아하는 음악 5곡 담기”
  • 비교 대상: 벅스, 멜론, 바이브

3. 사용성 벤치마킹 실전 예시

(1) 휴리스틱 평가 예시

  • 같은 테스크로 3개 앱 비교
  • 제품별로 사용성 문제 파악 가능
    • 벅스: 시스템 상태 가시성, 단순한 디자인은 강점이나 다른 항목 약함
    • 멜론: 사용자 자유/주도권 부족
    • 바이브: 일관성 부족, 오류 방지 미흡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했기 때문에 신뢰도 있는 비교 가능

(2) 테스크 완료 시간 측정

  • 동일한 테스크 수행 시간 측정
  • 예시:
    • 평가자 A: 벅스 126초, 멜론 256초, 바이브 356초
    • 평가자 B: 148초, 305초, 346초
    • 평가자 C: 204초, 345초, 406초
  • 평균 시간:
    • 벅스: 159초
    • 멜론: 302초
    • 바이브: 369초
      벅스가 가장 빠르고, 바이브가 가장 느림

(3) Single Ease Question (SEQ) 평가

  • 테스크 수행 난이도 주관 평가 (1~7점 척도, 높을수록 쉬움)
  • 평가자들의 예시 점수:
    • 평가자 A: 벅스 6.6, 멜론 5, 바이브 5
    • 평가자 B: 벅스 6, 멜론 6, 바이브 5
    • 평가자 C: 벅스 7, 멜론 5, 바이브 5
  • 평균 점수:
    • 벅스: 6.3점
    • 멜론: 5.3점
    • 바이브: 5점
      사용자가 벅스를 가장 쉽게 느꼈고, 바이브를 가장 어렵게 느꼈음

4. 정리 및 실무 활용 팁

  •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중요
  • 3~5명의 전문가 평가자로도 충분히 신뢰도 있는 분석 가능
  • 제품이 완성되지 않은 초기 단계에서도 빠르게 적용 가능한 방법
  •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실용적인 벤치마킹 기법

 

학습 인증샷

학습 시작 시간
학습 종료 시간
학습 진도
학습 통계
학습 인증샷

 

 

 

https://abit.ly/lisbva

 

패스트캠퍼스, 환급챌린지, 패스트캠퍼스후기, 습관형성, 직장인자기계발, 오공완